기저 벡터
두 벡터
(i hat)와
(j hat)가 있을 때 다른 벡터의 변환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이런 벡터를 기저벡터라고 한다.


일반적으로 아래처럼 길이가 1이고 서로 수직이며 양의 방향을 가리킨다.
위의 기저벡터는 2 X 2 행렬로 표현되며 첫 번째 열이 i hat 두 번째 열이 j hat이다.
선형변환
기저벡터를 사용해 벡터 v를 만들었을 때 기저 벡터를 스케일링하면 벡터 v 또한 기저 벡터를 따라 변하게 된다.
이를 선형변환(linear transformation)이라고 한다.
일반적으로 선형변환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네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.
![]() 기저벡터 |
||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스케일 | 회전 | 전단 | 반전 |
스케일
벡터의 크기를 조정하면 벡터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.
회전
벡터공간을 회전시킨다.
전단
특정방향의 직선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각 포인트를 이동시킨다.
반전
i와 j의 위치를 바꾼다.
반응형
'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th] 행렬식 (1) | 2024.11.22 |
---|---|
[Math] 스팬과 선형종속 (1) | 2024.11.15 |
[Math] 행렬(Matrix) (0) | 2024.11.08 |
[Math] 벡터의 일차 결합 (0) | 2024.10.10 |
[Math] 벡터의 내적(Dot Product)과 외적(Cross Product) (0) | 2024.09.30 |